본문 바로가기

GDP성장률 0.6% 2분기 역성장은 아닌데, GDP는 8.2% 줄었다.

3년후를 기다리는 투자자 2023. 10. 28.
반응형

올해 2분기 경제성장률은 0.6%로 잠정 집계됐지만 다행히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수출보다 수입이 크게 줄면서 약세에도 플러스를 유지 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국민총소득은 전분기 보다 줄어들었습니다. 우리나라 GD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여기]

 

 

1.한국 2분기 GDP 성장률

 

GDP 성장률
GDP 성장률

 


한국인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을 의미하는 국민총소득(GNI)은 전 분기보다 0.2% 줄었는데, 명목 GNI가 줄어든 것은 지난해 3분기(-0.3%) 이후 3분기가 유일합니다.

한국은행은 4일 발표한 국민소득 통계에서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 대비 0.6% 성장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달 25일 발표된 속보치와 동일한 수치로, 속보치를 집계한 뒤 산업활동 동향 등 지표를 반영해 잠정치를 조정한 것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수출(-0.9%)과 수입(-3.7%)이 속보치 대비 각각 0.9%포인트(p), 0.5%포인트 상향 조정됐습니다. 수출보다 수입을 더 많이 줄여 성장률을 방어했던 이른바 '불황형 흑자' 패턴이 속보치 발표에 비해 다소 완화됐습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수출은 반도체와 자동차 등에서 늘었지만 석유제품은 0.9% 감소했다"며 "수입은 원유와 천연가스 등을 중심으로 3.7%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설비투자도 속보치 대비 0.7%p 상승해 전년 대비 플러스(0.5%)로 전환했고, 운송장비는 감소했지만 기계설비 투자는 증가했습니다. 반면 정부소비는 -2.1%로 속보치 대비 0.1% 하락했고 건설투자도 -0.8%로 0.5%포인트 하락했습니다.

민간소비의 경우 속보치가 전분기 대비 0.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준내구재(의류, 신발 등)와 서비스(음식숙박 등) 소비가 감소한 것이 주를 이뤘습니다.


이에 따라 GDP 성장에 대한 각 부문의 기여도는 순수출 1.3%p에서 잠정치 1.4%p로, 설비투자는 0%p에서 0.1%p로 상승하였으며, 민간 및 정부의 소비와 건설투자는 기존과 동일한 수준을 나타남.

 

2. 2분기 명목 GNI



2분기 명목 GNI 증가율은 전분기 대비 -0.2%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국내에서 노동과 자본이 받는 소득인 명목 대외순익이 감소(19조3000억원→13조7000억원)하면서 명목 GDP 증가율(0.9%)이 하락했습니다.

명목 GNI 증가율은 지난 1분기 2.7%를 나타내며 2분기 연속 증가했지만 지난해 3분기(-0.3%) 이후 3분기 만에 마이너스로 떨어졌습니다.

2분기 총저축률은 전분기 대비 0.1% 상승한 33.5%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최종소비지출 증가율(-0.4%)이 총가처분소득 증가율(-0.2%)을 하회한 결과입니다.

 

 

3. 한국 지난해 GDP 성장률 주요국 중 세번째 큰폭으로 하락


지난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이 주요국 중 세 번째로 많이 떨어졌습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작성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세계은행(WB)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3만2142달러에 달했습니다. 이는 2021년(34,998달러) 대비 8.2% 감소한 수치입니다.

이 수치는 주요 47개국 가운데 일본(-15.1%), 스웨덴(-8.5%)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감소폭 입니다. (47개국은 세계 경제규모 상위 30개국과 OECD 회원국으로 OECD 회원국은 OECD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OECD 회원국이 아닌 국가는 WB 데이터를 사용하였습니다.)

국가별로는 룩셈부르크(125,558)가 1위를 차지했고 노르웨이(106,180달러), 아일랜드(104,237달러), 스위스(91,976달러), 미국(76,360달러)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지난해 한국의 1인당 GDP는 2021년에도 47개국 중 23위를 유지했습니다. 이와함께 경제규모 순위도 13위로 두계단이나 하락하였습니다. 이로써 한국의 경제는 다시 9년전 수준으로 돌아간 것을 의미 합니다.

이러한 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지난해 미국의 달러가 강달러를 유지하는 동한 한국의 원화 가치가 떨어져 무역수지 적자를 일으킨 원인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시간에 회복하기는 어렵다는 예측이 많습니다. 아직 통계로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국제 공급망 균열과 재편과 경제 안보에 대한 우려 그리고 글로벌 통상 질서의 새로운 국면은 한국 경제의 취약성을 더욱 두드러지게 하고 있습니다.

댓글